“12월 12일, 대한민국 수도 서울. 전쟁이 없었는데 군인들이 총을 들었다.” 이 한 줄만으로도 영화 『서울의 봄』은 시작 전부터
묵직한 긴장감을 자아냅니다. 이 작품은 단순히 과거를 재현한 정치 드라마가 아닙니다.
누군가에게는 여전히 생생한 상처이고, 또 누군가에게는 잊히고 있는 역사 속 진실을 꺼내 보이기 위한 고발이며, 동시에 오늘의
민주주의를 돌아보게 만드는 깊은 질문입니다.
줄거리
영화의 시작은 대통령 박정희가 피살된 후 정치적 혼란이 극에 달한 1979년 겨울입니다.
전두광(정우성 분)은 권력의 공백 속에서 기회를 엿보고 있습니다.
그는 육사 인맥과 특수부대를 이용해 수도 서울을 장악하려는 계획을 세웁니다.
이때 그를 견제하는 유일한 인물은 수도경비사령관 이태신(황정민 분). 극 중 이태신은 실존 인물인 장태완 장군을
모티브로 한 인물로, 불법적인 군사 행동을 막기 위해 고군분투합니다. 영화는 딱 하루. 1979년 12월 12일 단 하루 동안 벌어진
실제 사건을 정밀하게 따라갑니다. 이 하루 동안, 군 내부는 빠르게 둘로 갈라지고, 탱크가 서울 시내에 진입하고,
무장한 부대가 청와대로 향합니다. 마치 하루짜리 전쟁처럼 보이는 이 과정을 영화는 눈을 뗄 수 없는 속도감으로 풀어냅니다.
흥미로운 점은 총성 한 번 없이 이루어진 ‘쿠데타’의 모든 과정이 철저하게 인간 중심으로 펼쳐진다는 점입니다.
캐릭터들의 대립, 내면의 갈등, 정치적 압박 속에서의 선택들이 서로 충돌하며 점차 거대한 폭풍을 만들어갑니다.
영화는 단순한 역사 교과서적 재현이 아닌, 마치 현대 정치의 축소판처럼 느껴질 만큼 현실적으로 다가옵니다.
느낀점
서울의 봄을 보는 내내 가장 불편했던 건, 등장인물 중 누구도 완전히 악하거나 완전히 선하지 않았다는 사실입니다.
전두광은 분명 민주주의를 유린한 인물이지만, 그의 계획은 철저하고 치밀했으며, 동료들은 믿음직한 ‘동지’처럼 묘사됩니다.
반대로 이태신은 옳은 일을 하고 있지만, 주변의 회의와 조직의 무기력 속에서 점점 외톨이가 되어갑니다. 진실은 고립되고,
거짓은 뭉칩니다. 이 장면들이 현실과 너무 닮아 있어서 오히려 더 아프게 다가옵니다.
당시 군 내부에는 분명 전두광의 행동이 잘못되었다고 느끼는 이들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 누구도 끝까지 나서지 않았습니다.
방관과 침묵, 자기 보신을 위한 눈치 보기. 그런 것들이 모여 결국 역사의 물줄기를 바꾸어 버립니다.
이 영화에서 가장 강렬했던 장면은 이태신이 마지막으로 라디오를 켜는 장면이었습니다.
아무 말도 하지 않지만, 그의 표정과 행동 하나하나가 너무나 많은 이야기를 품고 있었죠.
그 순간 관객은 깨닫게 됩니다. 정의가 반드시 승리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옳은 일’을 포기하지 말아야 한다는 메시지를요.
결론
『서울의 봄』은 단지 과거의 사건을 재현하는 영화가 아닙니다. 오히려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 묻습니다.
“그 날, 그 자리에 당신이 있었다면 어떤 선택을 했을 것 같습니까?”
오늘날 우리는 과거보다 훨씬 많은 자유와 권리를 누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자유는 결코 당연한 것이 아니었습니다.
그 하루 동안 누군가는 목숨을 걸고 지키려 했고, 또 누군가는 그 권력을 무너뜨리기 위해 움직였습니다.
그리고 그날의 선택은 지금까지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저는 이 영화를 통해 다시금 ‘민주주의는 지켜야 할 것’이라는 단순하지만 중요한 진실을 깨달았습니다. 작은 방심 하나가,
한 번의 침묵이, 사회 전체를 뒤흔들 수 있다는 걸 말이죠.
『서울의 봄』은 그 자체로 역사이고, 기록이며, 동시에 질문입니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고 합니다.
이 영화는 우리가 그 미래를 잊지 않도록, 끊임없이 되묻고, 상기시키는 강력한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